IRP vs 연금저축 세액공제 (한도·세액공제·연금저축·연말정산)

IRP vs 연금저축 (2025)세액공제 12·15%·      한도 600·900 · ISA 전환 300 · 연말정산 환급 가이드

연금저축 600 · 연금계좌 합산 900, 저소득 15% (일반 12%), IRP 위험자산 규정, 55세·5년 수령, ISA→연금계좌 전환 추가한도 300

업데이트: 2025-08-17 (KST)

바로가기 (공식 링크)

핵심만 빠르게

세액공제율: 기본 12%.저소득은 15% (종합 4,500만↓ / 근로만 5,500만↓).

한도: 연금저축 600.연금계좌 합산 900 (연금저축+IRP).

ISA 만기 전환: 전환액의 10%.최대 300 추가한도 (해당 연도만).

수령: 만 55세 + 가입 5년.연 1,500만 초과 시 과세방식 선택.

IRP는 위험자산 비중 제한 규정이 있습니다 (일반적으로 ‘70% 룰’). 직접주식 매수는 불가, ETF/펀드 중심 운용.

IRP vs 연금저축 (비교표)

구분 세액공제 납입·운용 인출·과세
연금저축 공제율 12%·15%. 개별 한도 600. 연금계좌 합산 900. 연간 납입 상한 계좌합산 1,800. 펀드·ETF·예금 운용 (직접주식 X). 55세 + 5년 충족 후 연금수령. 연 1,500만 초과 시 종합/분리 선택.
IRP 공제율 12%·15%. 별도 한도 없음. 합산 900 내에서 공제. 퇴직금 이체 + 개인납입. 위험자산 비중 제한 (‘70% 룰’). ETF/펀드 중심 운용. 55세 + 5년 충족 후 연금수령. 연 1,500만 초과 시 과세방식 선택.
모바일에서는 좌우로 스크롤하세요.

실전 시나리오 (간단 계산)

  1. 총급여 5,000만, 연금저축 600 납입. 세액공제 = 600 × 15% = 90만.
  2. 종합소득 6,000만, IRP 300 + 연금저축 600 (합산 900). 세액공제 = 900 × 12% = 108만.
  3. ISA 만기 3,000만 중 1,500만 전환. 추가한도 = 전환액 10% = 150만 (해당 연도).

* 지방소득세는 별도 (국세의 10%).

세액공제 최대치 전략

  • 내 소득구간 확인 → 12%/15% 판정.
  • 연금저축 600 채우고, IRP로 합산 900 완성.
  • ISA 만기 있으면 전환으로 최대 300 추가.
  • IRP는 ETF/펀드 중심, 위험자산 비중 관리.
  • 연금 수령은 55세·5년 요건 미리 점검.
  • 연말 (12/31) 이체 마감시간 체크.

자주 묻는 질문 (FAQ)

Q1. 12%와 15%는 어떻게 구분하나요?

종합소득 4,500만 이하, 또는 근로만 있을 때 총급여 5,500만 이하는 15%. 그 외는 12%.

Q2. 연금저축 600 + IRP 300으로 꼭 분할해야 하나요?

아니요. 합산 900 내에서 조합은 자유. 단, 연금저축은 개별 한도 600.

Q3. IRP로 개별 주식 매수 가능한가요?

불가. ETF·펀드 등 간접투자만 가능. 위험자산 비중 제한 유의.

Q4. 연금으로 받으면 세금은?

연 1,500만 이하: 연금소득세 (3.3~5.5%). 초과: 종합과세 또는 15% 분리과세 선택.

#IRP #연금저축 #세액공제 #연말정산 #ISA전환 #퇴직연금 #연금소득 #세금환급 #ETF #재테크

댓글 쓰기

0 댓글