긴급 생계지원금 신청하기 2025 (조건 · 연장 · 신청 · 금액 · 서류)
긴급 생계지원금 신청하기 (2025 최신 가이드)
업데이트: 2025-09-01 기준
핵심 한눈에 보기 ⚡
- 대상: 갑작스러운 위기사유+소득·재산 기준 충족 가구
- 지원: 생계비(예: 4인 1,872,700원/월)·의료·주거·교육·연료비 등
- 신청: 읍·면·동 주민센터 / 129(일부 24시간 상담) / 복지로 온라인
- 기간: 생계 3개월(최대 6개월 연장 가능), 주거 최대 12개월
- 팁: 급박하면 선지원 요청 가능, 반려 시 30일 내 이의신청
1) 자격요건
- 위기사유: 주소득자 사망·실직·휴/폐업, 중한 질병·부상, 가정폭력·학대, 화재·자연재해, 단전(전류제한 포함), 출소 직후 생계곤란 등
- 소득기준: 가구 월소득 기준중위소득 75% 이하 (예: 1인 1,794,010원 / 4인 4,573,330원)
- 재산기준: 일반재산(대도시 2.41억 내외·중소도시 1.52억·농어촌 1.3억), 금융재산(가구별 839만~1,406만원)
2) 얼마 받나요? (2025 생계비 기준)
| 가구원 수 | 월 지원액 (생계) |
|---|---|
| 1인 | 730,500원 |
| 2인 | 1,205,000원 |
| 3인 | 1,541,700원 |
| 4인 | 1,872,700원 |
| 5인 | 2,186,500원 |
| 6인 | 2,485,400원 |
| 7인 이상: 1인 추가 시 289,700원 가산 | |
* 의료(연 최대 600만원), 주거(대도시 4인 기준 월 59만원), 교육, 연료비·전기요금 등도 병행 가능
3) 신청 절차
- 전화 129: 위기상황 먼저 알리고 필요서류 확인
- 주민센터 방문: 신분증+위기사유/소득·재산 증빙 제출
- 온라인 복지로 신청(공동/민간인증서 로그인)
- 지원결정·지급: 급박 시 선지원 요청 가능(계좌입금/현물)
- 연장·사후관리: 상황지속 시 총 6개월 이내 연장, 부적정 수령 환수
- 불복: 결정 통지 후 30일 내 이의신청
4) 서류 체크리스트 📎
- 공통: 신분증, 주민등록등본, 가족관계증명(필요 시), 금융정보제공동의서
- 소득·재산: 급여명세/소득확인, 건강보험료 납부확인, 임대차계약서, 자동차등록증 등
- 위기사유: 실직·휴/폐업 사실증명, 진단서·입퇴원확인, 화재사실확인 등
- 체납: 임차료/공과금 체납고지서, 강제퇴거명령서(해당 시)
※ 지자체별 추가서류가 있을 수 있습니다.
5) 자주 묻는 질문
Q. 다른 제도와 중복되나요?
다른 법률 지원이 이미 결정되어 동일한 내용 지급 시 제외될 수 있으나, 결정 전에는 긴급복지 선지원 가능.
Q. 압류 걱정이 있어요.
긴급복지로 지급된 금전·현물과 긴급지원계좌 잔액은 압류 금지 대상입니다.
Q. 지역 추가 지원 있나요?
여러 지자체가 지역형 긴급복지를 운영하니 거주지 공고도 함께 확인하세요.
한 줄 정리 🧭
129로 길 열고, 주민센터·복지로로 오늘 바로 접수하세요.

댓글
댓글 쓰기
간단한 커뮤니티 가이드라인 작성