🏠 신혼부부 첫 집 마련 A‑Z (2025년 7월 기준)
Q1. 집을 구하기 전 가장 먼저 할 일
- 거주 목적 확정: 직장, 양가 부모님 거리, 자녀 계획 등
- 자금 계획 수립: 자기자본 + 대출 가능금액 + 상환능력 (DSR 반영)
- 청약저축 여부 및 분양 일정 확인 및 가입
- 입지 조사: GTX 예정지, 교통망 확충, 신도시 정책
Q2. 매매·전세·월세 중 어떤 형태가 유리할까?
- 매매: 장기 거주 시 자산 증식 가능, 초기 자본 부담 크고 대출 LTV 제한됨
- 전세: 초기 비용 대비 안정적, 정책 전세자금 대출 활용 가능하나 전세사기 주의
- 월세: 초기 부담 적지만 장기 거주 시 총 지출 커짐
- 전세 계약 시 확정일자 확보 및 전세보증보험 가입 필수
Q3. 예산별 추천 지역 (2025년 기준)
예산 | 추천 지역 | 선정 포인트 |
---|---|---|
2억 원대 (전세) | 서울 강북, 금천, 도봉 일부 빌라 경기 의정부·인천 부평·주안·시흥·김포 |
GTX 예정지 및 신축 빌라 중심 |
3억 원대 (매매 또는 전세) | 서울 노원·관악·도봉 구축 아파트 경기 구리·부천·하남·성남 중소형 매매 |
역세권, 입주 10년 이내 단지 중심 |
4억 원대 이상 (매매) | 서울 강북·관악·노원 중소형 아파트 경기 김포·남양주·광명·파주 신축 매매 |
위례·동탄 등 신도시, 생활 인프라 완비 |
Q4. 대출 포함 월 지출 계산 (2025년 7월 기준, 평균 생활비 포함)
※ 생활비는 본 글 기준으로 평균 수준을 적용했습니다.
예산 | 대출 금액 | 예상 월 원리금 (금리 4.0% 가정) | 관리비 | 평균 생활비 | 총 월 지출 |
---|---|---|---|---|---|
2억 | 1억 | 약 48만 원 | 20만 원 | 약 200만 원 | 약 268만 원 |
3억 | 1.5억 | 약 72만 원 | 25만 원 | 약 220만 원 | 약 317만 원 |
4억 | 2억 | 약 96만 원 | 25만 원 | 약 250만 원 | 약 371만 원 |
2025년 6월 기준 예금은행 주담대 금리는 약 3.93 ~ 3.95%, 전세자금대출 금리는 약 3.71%입니다.
Q5. 신혼부부 정부지원 제도 (2025년 7월 기준)
📌 버팀목 전세자금 대출
- 일반 신혼부부: 금리 연 2.5~3.5%, 수도권 최대 1.2억 원
- 청년·신혼부부 전용: 금리 연 2.0~3.1% (조건 충족 시 최저 1.0%), 한도 최대 2억 원
📌 디딤돌 대출 (주택 매매)
- 생애최초 신혼가구: 금리 연 2.55~3.85%, 한도 최대 3.2억 원
- 우대금리: 자녀 수·청약저축·다자녀 조건 시 0.5~0.7%p 인하
Q6. 사기 예방 체크리스트
- 등기부등본 확인: 소유자·근저당·가압류 여부
- 확정일자 확보 및 전세보증보험 가입 (HUG 또는 SGI)
- 계약금은 소유자 명의 계좌로 송금
- 중개업소 등록번호·중개보증보험 가입 여부 확인
- 매물은 여러 플랫폼에서 교차 검증
0 댓글
간단한 커뮤니티 가이드라인 작성